안녕하세요
이번에 제가 정말 큰 맘 먹고 갤럭시 탭 S8 플러스를 사고 약 5개월 정도 사용하고 실제 후기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몇가지 꿀팁도 같이 공유해 드릴테니 많은 분들이 사용하실 때 더 알차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원래 태블릿 구매 하는 분들을 잘 이해 못했었던 사람 중 한명입니다.
- "큰 화면으로 볼 수 있잖아" 라는 질문에 "집에 데스크탑 더 큰 화면이 있는데?"
- "가지고 다니면서 작업할 수 있어" 라는 질문에는 "노트북이 있는데 키보드도 없는 이걸 왜사? 자판도 넓어서 쓰기 힘들더만"
그랬던 제가 삼성 스토어를 우연히 들어가서 s8 울트라를 본 순간 엄청 탐이 나더라구요.
출시 직후 할인도 많이 해줄 때 살껄 그때 잠깐 참으면 사고 싶은 욕구는 또 들어갈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참을 수 없는 유혹이 왔습니다.
바로 연말정산 환급!!
평소 같았으면 그대로 통장으로 들어갈 돈이었는데 이번에는 이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질렀습니다.
5개월 정도 사용하면서 아주 만족스럽게 쓰고 있습니다.
지금은 로지텍 k580 키보드도 사서 pc처럼 아주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답니다.
우선 갤럭시 탭 s8 사용하는 용도부터 말씀드릴게요.
1. 삼성노트
2. 넷플릭스 or 유튜브
3. 밀리의 서재
막상 쓰고 나니 별로 다양하게 쓰지 못한다는 느낌이 있는데 사실 이 중에서 삼성노트와 밀리의 서재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애초에 사용할 때부터 스스로에게 'pdf로 공부할거야'라고 스스로 다짐하고 샀기 때문에..
갤럭시 탭s8을 사용하시는 분들 중 상당수의 분들이 삼성노트를 쓰기 위해서 구매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삼성토는 기본 앱임에도 불구하고 참 좋은 앱인 것 같습니다.
가끔 사용하다가 화면 밑에 있는 태스크 바를 건드려 엉뚱한 앱이 갑자기 실행된다던가 아니면 뒤로가기 버튼이 눌려 짜증날 때 가끔 있지 않으셨나요?
이렇게 바꿔보세요.
우선 하단에 항상 떠있는 태스크바 숨기는 방법입니다.
태스크 바 있는 곳 오른쪽 빈 공간을 길게 눌러 태스크 바를 숨길 수 있습니다.
사라진 상태에서 길게 누르면 다시 태스크바를 상시 떠 있게 할 수 있습니다.
네비게이션 바 숨기기 설정입니다.
설정 → 디스플레이 → 네비게이션 바 → 스와이프 제스처
이렇게 설정하면 화면 아래부분에서 위로 끌어올리는 동작으로 네비게이션 바를 숨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태스크 바도 아래에서 위로 끌어올리는 동작을 할 때만 나타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성 노트 필기 중 가장자리 부분에 자꾸 인식이 잘 안된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기계 결함으로 생각하기 쉬운데요.
혹시 굿락에서 원핸드 오퍼레이션을 설정하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저도 대각선 끌어내림으로 캡처, 동영상 촬영 등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각선 인식하는 범위를 넓게 설정한 경우 이 부분에 필기를 할 때 펜 위치보다 더 안쪽 화면으로 인식하더라구요.
아예 인식을 못할 때도 많았습니다.
원핸드 오퍼레이션 인식하는 부분을 얇게 설정하시면 삼성 노트 가장자리 필기 오류가 많이 개선되시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삼성 휴대폰과 태블릿을 사용하는 분들은 굿락 앱이 아주 필수인데 아직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더라구요.
굿락 안에서 키보드도 내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하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니 설정 해보시길 바랄게요.
특히 굿락안에서 이 원핸드 오퍼레이션은 필수 설정입니다.
좌 우 가장자리부분에서 대각선으로 위, 아래 그리고 안쪽으로 스와이프 하는 동작 총 6가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캡처, 뒤로가기, 동영상 촬영으로 설정해놓고 아주 잘 사용하고 있답니다.
'생활용품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세코 캠핑 가스히터 PGH-C14GH 캠핑용 난로 구매 후기 (0) | 2023.11.12 |
---|---|
남성용 올인원 화장품 파운데이션 '오브제 커퍼 파운데이션' (0) | 2023.09.24 |
카즈미 커틀러리와 식기세트로 캠핑 준비, 장점과 단점은? (0) | 2022.07.24 |
캠린이를 위한 불멍 미니 화로, 집 안 데코 가구로도 추천 (0) | 2022.07.23 |
쿨맨 경량 테이블, 캠핑이나 피크닉이나 가벼운 여행갈 때 좋을 아이템 (0) | 2022.07.20 |
댓글